☁️정리 39

[자료구조] Stack vs Queue

❓ Stack후입선출(LIFO)데이터 넣을 때 push, 데이터 꺼낼 때 pop한쪽 끝(맨 위)에서만 삽입과 삭제가 이루어짐웹 브라우저의 뒤로 가기: 웹 브라우저에서는 사용자가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이전 페이지를 스택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뒤로 가기를 클릭하면 가장 마지막에 방문한 페이지가 스택에서 꺼내져 보인다.함수 호출: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해당 함수의 정보가 스택에 쌓인다. 함수 호출이 끝나면 스택에서 해당 함수 정보가 꺼내져 복귀한다.  ❓ Queue선입선출(FIFO)한쪽 끝에서 데이터를 넣고, 반대쪽 끝에서 데이터를 꺼냄프린터 대기열: 여러 사용자가 프린터를 사용하려고 할 때, 먼저 인쇄 요청한 사람이 먼저 인쇄된다. 따라서 인쇄 요청은 큐에 쌓이고, 순차적으로 처리된다...

[CS] 트래픽 처리 방법

💡로드밸런싱 ✔️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 ( =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여러 서버가 나눠 받도록 구성)✔️ ex) 스위치 할당 (=스위치에서 어떤 서버로 로드 밸런싱 되도록 할지 제어 가능) 💡캐시✔️ 비용이 큰 작업을 비용이 작은 작업으로 대신하는 것 (= 매번 요청 들어올 때마다 수행 x 미리 저장된 결과로 응답 o)✔️ 장점) 성능 극대화 목적✔️ 단점) 데이터의 실시간성이 줄어듦 (=가장 최신의 데이터가 아닐 수 있음)

[CS] API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라이브러리를 외부의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페이스✔️ 웹 개발에서는 '백엔드 서버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프론트엔드의 인터페이스로 제공'이라는 의미로 사용✔️ 백엔드 개발자 입장에서는 '프론트엔드와 주고받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 프로그램' 의미

[CS] OSI 7 Layer

계층계층 이름설명1물리 계층실제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2데이터 링크 계층오류와 흐름을 제거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전송3네트워크 계층다수의 중개 시스템 중 올바른 경로를 선택하도록 지원4전송 계층송신, 수신 프로세스 간의 연결5세션 계층송신, 수신 간의 논리적 연결6표현 계층코드 문자 등을 번역하여 일관되게 전송하고 압축, 해제, 보안 기능도 담당7응용 계층사용자 친화 환경 제공

[CS] 트랜잭션

💡트랜잭션업무처리를 위한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로 'SQL의 묶음. 일처리 단위'를 뜻함 💡트랜잭션 특성원자성(Atomicity)트랜잭션이 데이터베이스에 완벽하게 반영되던가,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함일관성(Consistency)트랜잭션이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항상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변환함독립성(Isolation)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결과는 트랜잭션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실행된 결과와 같아야 함영속성(Durability)완료된 트랜잭션의 결과는 영구적으로 유지되야 함